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차량 점검 받아야 할까? [2편]
1편 내용에 이어서 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차량 점검을 받아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사이드 브레이크란? [1편]
- 사이드 브레이크 작동 방식 [1편]
- 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나타나는 현상 [1편]
- 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 [2편]
- 차량 점검을 받아야 할까? [2편]
들어가며
이번 글은 '사이드 브레이크란 무엇인지' 그리고 '사이드 브레이크의 작동 방식은 어떠한지'에 대해 쓴 글에 이어서 작성된 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차량 점검 여부를 작성한 글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사이드 브레이크의 제동원리에 대해 이해하셔야 글을 읽기 수월하니 1편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1편을 먼저 읽고 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매우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으니 1분 정도면 읽으실 수 있습니다.
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발생하는 문제점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고 주행하면 차량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이러한 문제점은 앞서 설명드렸듯이 사이드 브레이크의 작동원리를 알고 계신다면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고 주행한 거리에 따라 달라지겠습니다만, 공통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브레이크 패드에 상당한 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는 마찰을 발생시켜 바퀴를 제동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운전을 하더라도 브레이크 패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마모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고 주행한다면 마모의 정도가 굉장히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 번째로, 브레이크를 작동 시키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오일이라는 것이 필요한데, 브레이크 오일에 상당한 부담을 줄수가 있습니다. 자세히 설명드리진 않겠지만, 브레이크 작동시 발생하는 마찰열이 브레이크 오일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물론 일반적인 주행에서 발생하는 마찰열은 무관하지만,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고 주행한다면 상당히 장시간 동안 고열을 지속적으로 받게되므로 브레이크 오일이 손상될 수가 있습니다.
차량 점검을 받아야 할까?
그렇다면 사이드브레이크를 걸고 주행했다는 이유로 무조건 차량 점검을 받아야할까요? 굉장히 많은 케이스가 있을것이라고 생각됩니다. 1km 이하 잠깐 운전하신 분들, 10~20km 정도 운전하신분 또는 고속도로에서 장시간 운전하신분들도 있겠지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꼭 차량점검을 받으시는 게 좋고요. 아니시라면 먼저 스스로 차량을 점검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차량 점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볍게 주행하면서 풋브레이크를 밟아보면서 제동이 잘 걸리는지 확인하기
- 주차 기어는 중립, 사이드 브레이크 걸은 후 차 직접 밀어 보기
위와 같이 테스트하여 차량 제동에 문제가 없다면 당분간은 운행하셔도 됩니다만, 사실 심리적인 불안함은 해결할 수 없기에 차량 점검하러 가는 것이 만병통치약입니다.
지금까지 두 편에 걸쳐서 사이드 브레이크 걸고 주행 시 발생하는 현상과 해결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였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분들이 많이 읽은 글들]
백신 패스 예외란? 확인서 발급 방법
코로나가 다시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백신 패스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백신 패스 적용에서 예외 되는 분들이 계신데요. 백신 패스 예외가 무엇이며, 예외 대상자들이 이를
onebeat.tistory.com
방역패스 효력 정지, 언제까지 일까?
전국 학부모단체연합이 방역패스 도입에 대한 '행정명령 집행정지' 소송을 하였고, 법원에서 '효력 정지 처분'을 내렸습니다. 그렇다면 방역 패스 효력은 언제까지 정지될까요? 이해하기 쉽게
onebeat.tistory.com
댓글